개발자
류준열

mystory

캘린다이어리

동네친구의 아이디어로 만든 일기공유 서비스

랜딩페이지, 이벤트페이지 외주 안되는거 없습니다

내가 PO의 역할을 하고 AI가 개발자, 디자이너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제 기술문서를 읽고 기술의 장인이 되고 그런 시대는 끝이나고 있는 것 같다. 얼마나 많이 고객을 만나보았고 그 경험을 통해서 어떤 해결책을 내놓을 수 있느냐가 중요한 역량인 것 같다.

제품팀은 PO 중심으로 움직여야 한다.

제품은 문제를 해결해야 하고, PO의 역할은 문제를 정의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제품팀은 PO 중심으로 움직여야 한다.

잘하자

지난 1년동안은 그냥 떠다니는 유령처럼 산 것 같다. 꿈도 없었고 그래서 목표가 희미했기 때문이다.

설계 리뷰

1. 할 일과 하지 않아도 되는 일을 명확히 함으로써 에너지를 흩뿌리지 않는 것. 2. 서로 동일한 이해도를 갖는 것

함께 자라기

팀을 성장시키는데 중요한 요소는 심리적 안전감이다. 심리적 안전감은 일상에서 조금씩 쌓아가는 상호간의 존중에 기반한다. 우리팀을 최고의 팀으로 만들기 위해 내가 지금 바로 할 수 있는 행동은 동료를 존중해주는 것이다.

업무 프로세스 개선 경험

내가 입사했을때 팀이 신설된지 얼마 안된 상황이었고, 바쁘고 혼란스런 상황속에서 자연스럽게 개선하고 싶은 것들이 떠올랐다. 마침 운이좋게도 본부장님도 같은 생각을 하고 계셨다.

코드스테이츠 정규직 확정되고 썼던 글 (22.4.14)

여튼 어느 주간회의날, 대화를 하다가 어느 단어에 꽃혀서 순간 감정적으로 PM 동료분께 '일을 주말에 하지 않으면 못끝낼 정도로 일을 주고 있다.' 라고 이야기를 했다. '못하겠다고 해도 괜찮으니까 이제 벅차면 얘기하세요.' 라고 말씀해주셨다.

소프트웨어 장인 독후감

하지만 이것들 보다 가장 중요한건 개발자 개개인이 '소프트웨어 장인 정신'을 갖는 것이다. 소프트웨어 장인 정신이 없다면 나머지는 다 껍데기다.

하이빌리지 : 위치기반으로 가까운 관광지 보여주는 서비스

주말에 어디 놀러갔다 오고 싶어서 구글에 여행지를 검색하면 티스토리 광고글이 가장 상단에 있는 경우가 많다. '시각적으로 한눈에 가까운 관광지를 볼 수 있으면 좋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내 주변 가까운 관광지를 보여주는 서비스를 만들었다.

도메인 주도 설계란 무엇인가? (Domain Driven Design Quickly)

개발자가 일하는 방식이 지난 십수년간 많이 변화했지만, 동료들과 함께 제품을 만든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CTO님께서 이 책은 DDD의 시작에 불과하다고 말씀해주셨다.

profile

개발자 류준열 이력서

안녕하세요 류준열입니다. 현재는 (주)자이온아이티에스에 재직하고 있습니다. '일이 되게 하는 사람'이 되고 싶고 그런 사람처럼 일하려 합니다. 감사합니다.